사막화로 물이 메말라 가는 중국과 몽골
최근 우리나라에 황사가 더욱 심해지고 있습니다. 그 원인은 제주도 2.6배의 중국과 몽골에서 4천키로미터의 토지가 사막화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사막화가 계속되면 태양에너지 반사율이 당연히 증가하기 때문에 지표면이 차가워지게 됩니다.
이렇게 차가워진 지표면에는 아주 건조한 하강 기류가 만들어지면서 강수량이 감소해지고, 토양수분이 적어지기 때문에 사막화는 더욱 빠른 속도로 증가하게 됩니다. 다시말해서 물이 부족해지면서 사막화가되는 것이고 다시 물보족현상이 일어나는 악순환이 되는 것입니다. 게다가 지표가 건조해지면 토양염류화, 즉 소금기가 있는 땅으로 변해 식물 한 포기도 살기 어려운 환경이 됩니다.
실제로 중국은 중국의 물탑이라고 불리는 싼장위안이 갈수록 메말라 가고 있습니다. 양쯔강 수량의 25%, 황허강 수량의 49%, 란창강 수량의 15%가 이 싼장위안에서 나오기에 중국의 물탑이라는 명칭이 붙었는데, 최근 이곳의 물부족이 심해져, 강줄기가 군데군데 끊기며 사막화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몽골의 호수 역시 최근 십여 년 새, 해마다 10~20%식 말라버리고 소금기가 있는 땅으로 변해가고 있습니다.
이렇게 중국과 몽골 지역의 사막화와 물부족이 심해지는 이유는 인위적 요인과 자연적 요인이 함께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인위적 요인에는 과도한 경작과 방목, 그리고 산림 벌채 등이며 자연적 요인으로는 강수량보다 증발량이 많은 건조화가 그 이유가 될수 있습니다.
게다가 요즘 중국이 경제 사정이 나아지면서 육류 소비가 늘어 가축을 사육하는 면적이 넓어지고 사료 경작이 늘면서 더욱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는 점입니다. 세계 최대의 인구와 광대한 국토를 가진 중국에서 생산과 소비의 균형이 깨지면서 지구 환경은 점차 악화되고, 기후변화의 속도가 빨라지고 있기 때문에 사막화현상은 더욱 빨라질수 밖에 없다는 결론입니다.
'유용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통법규위반차량신고관련 사실확인서 뭐니? (0) | 2015.02.12 |
---|---|
제철과일과 저장과일 (0) | 2014.04.15 |
알타미라 동굴 속 벽화로 예술성을 뽐내 호모 사피엔스 (0) | 2014.04.14 |
소금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일까요? (0) | 2014.03.08 |
대추차만드는법과 대추차 효능 알아보기 (0) | 2014.03.01 |